5. 집합
5.1. 집합의 개념
집합(SET)
명확한 기준에 의해 분류
공통된 성질
중복되지 않는 원소
표기방식
원소나열법
조건제시법
밴다이어그램
기수(집합의 크기)
집합 A에 포함되는 원소의 개수
유한집합/무한집합
유한집합 : 원소의 개수가 유한개인 집합
무한집합 : 원소의 개수가 무한개인 집합
원소의 집합에 대한 포함관계
a가 집합 A의 원소이면 :
a ∈ A
a가 집합 A의 원소가 아니면 :
a ∉ A
5.2. 집합의 종류
전체집합 : 논의대상이 되는 우너소 전체를 포함하는 집합(일종의 도메인!)
공집합 : 원소를 포함하지 않는 집합 기수가 0임.
∅
또는{}
로 표기상등(Equal) :
A = B
부분집합(Subset) :
A ⊆ B
A의 모든 원소가 B에 포함된 경우. 자기자신도 된다. TypeScript는 JavaScript의 Superset진부분집합(Proper subset) :
A ⊂ B
A의 모든 원소가 B에 포함되지만 A = B를 제외한 경우.
5.3 합집합 교집합
합집합(Union) :
A ∪ B
A,B 모두에 속하거나 둘중 한 집합에 속할 때교집합(Intersection) :
A ∩ B
A,B 모두에 속하는 원소로 이루어진 집합서로소(Disjoint) : 두 잡합 A,B에 대해
A ∩ B = ∅
인 경우 서로소라 부름차집합(Difference) :
A-B
는 A에는 속하지만 B에는 속하지 않는 원소로 이루어진 집합.대상차집합(오타인듯...) :
A⊕B
A-B에 속하거나 B-A에 속하는 원소로 구성되는 집합.여집합(Complement) : U-A = AC 전체에는 속하지만 A에는 속하지 않는 원소들로 구성된 집합.
5.4. 집합의 대수법칙
Last updated
Was this helpful?